



작 가 |
김리현 |
 |
작 품 명 |
봄 편지 |
작품 사이즈 |
220 × 100 × 250 |
제작년도 |
2023 |
작품 재료 |
스테인리스 스틸, 화강석 |
작품 설명 |
우리의 욕망으로 스펙타클하게 변화하는 현시대를 가장 단단하고 최고의 보석이라 불리우는 다이아몬드의 형태로 시각화하고 있다. |
작가 |
백종인 |
 |
작 품 명 |
탑기린 |
작품사이즈 |
200 × 230 × 300 |
제작년도 |
2012 |
작품재료 |
알루미늄앵글, 스텐볼트, 철 |
작품 설명 |
일상의 공간을 박스로 표현하고, 박스 안에서 나오는 사물들을 선재 드로잉화하여 새로운 형태의 공간에 펼쳐지게 하였다. 뒤섞여 있던 일상의 사물들(작가의 작업 도구, 공구 등)이 밖으로 펼쳐져 자유롭게 배치된다. 그 안에 숨어있는 재미있는 보물들을 발견하길 바란다. |
작가 |
김민호 |
 |
작 품 명 |
나를 보는시간 |
작품사이즈 |
170 × 160 × 255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스테인리스 스틸 |
작품 설명 |
공간은 안과 밖, 시간은 시작과 끝, 인간은 내면과 외면, 각각의 경계를 가공하여 삶의 시작과 끝, 그리고 그 흐름에 대한 의문을 함축적으로 말하고자 한다. ‘인간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이 알 수 없는 물음에 대한 조형적 표현이다. 인간이 자연스럽게 순리대로 살아가는 모습을 처음과 끝의 구분이 명확한 이미지들을 통해 회전하는 형상으로 나타내었다. |
작가 |
노준진 |
 |
작 품 명 |
거북이 |
작품사이즈 |
110 × 120 × 150 |
제작년도 |
2023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거북이의 무겁고 튼튼한 등껍질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짐을 짊어지고 살아가야 하는 현대인을 표현한 작품으로서, 현대 사회에서는 끊임없는 노력과 발전이 요구되며, 사람들은 목표를 위해 느리지만 묵묵히 앞으로 걸어가는 현대인의 끈기와 노력하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
작가 |
이일 |
 |
작 품 명 |
GOBOT |
작품사이즈 |
100 × 50 × 200 |
제작년도 |
2015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작품 고보트는 어릴적 가지고 놀던 장난감 로보트들의 어렵풋한 기억들을 꺼내 모아 점,선,면을 사용하여 고릴라를 모티브로 한 로보트를 형상화 한 작품이다. 레트로한 구성의 작품을 통해 상상력을 자극하고 어린시절의 즐거웠던 추억을 제공한다 |
작가 |
이종서 |
 |
작 품 명 |
시각으로 인식되는 형상 |
작품사이즈 |
201 × 80 × 160 |
제작년도 |
2018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작품의 주제는 행복이다. 직접적으로 행복을 표현하기도 하고 행복하지 못하다면 그리고 행복할 수 있다면 그 이야기에 대해 나의 생각을 작품 속에서 표현하고 있다. |
작가 |
전신덕 |
 |
작 품 명 |
새벽 |
작품사이즈 |
160 × 70 × 25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철, 채색 |
작품 설명 |
복잡하고 버거운 삶 속에서 새로운 미래를 향해 자유로운 모습과 꿈과 희망을 갖고 떠나는 모습을 표현함. |
작가 |
신달호 |
 |
작 품 명 |
Restoration-Family |
작품사이즈 |
120 × 70 × 15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작품생활은 항상 즐거운 일이다. 많은 고뇌와 힘든 과정을 거쳐 태어난 작품을 보면 힘들었던 과정은 잊혀지고 눈과 마음이 풍요로워 진다. 이어서 또다른 작품구상과 제작에 매달려 일상을 보내는 시간들이 몸에 배어 있기에 오랜 기간 동안 이어진 작품생활이 나를 지탱해준 근원이라 생각된다. 작품의 주제와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전시 장소와 전시 주제, 또는 주위 환경에 어울리는 다양한 작품을 하는 것도 하나의 즐거움이라 생각되어 이번 전시도 평소와는 다른 ‘견생전’의 전시에 어울리는 작품을 제작해 본다. |
작가 |
전강옥 |
 |
작 품 명 |
목마와 풍선 |
작품사이즈 |
77 × 120 × 250 |
제작년도 |
2022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날아오르는 풍선을 통해 인간적 조건들을 초월하는 수직의 꿈을 담고자 함. |
작가 |
정찬우 |
 |
작 품 명 |
꿈을 향해서 달려라! |
작품사이즈 |
200 × 100 × 110 |
제작년도 |
2012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
작품 설명 |
‘인생의 불확실성’이라는 주제로 작업을 하는 도중, 독일의 비판 철학자 쇼펜하우어의 ‘물자체-삶의 의지’에 영향을 받았다. 그래서 세상의 모든 물건에는 의지가 있다는 가정하에 나 또한 다시 꿈을 향해서 달리고자 한다. 그 꿈이 이루어질지 아닐지는 나 자신에게 달려있다. |
작가 |
전종무 |
 |
작 품 명 |
내리사항-사랑의대화 |
작품사이즈 |
160 × 90 × 245 |
제작년도 |
2018 |
작품재료 |
청동,화강석 |
작품 설명 |
내리사랑-사랑의 대화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외롭고 힘들 때, 사랑의 대화로 소통하며 희망찬 미래를 함께 준비하는 고맙고 소중한 가족의 모습을 서술적으로 형상화 한 작품이다. |
작가 |
장원모 |
 |
작 품 명 |
Geometry Horse F |
작품사이즈 |
100 × 355 × 250
80 × 300 × 200 |
제작년도 |
2020 |
작품재료 |
스테이레스 스틸, 우레탄 도장 |
작품 설명 |
두 마리의 말 가족이 힘차게 달리는 모습을 담았습니다. 기하학적 도형들로 구성된 말은 분해와 재조합의 과정을 거치며 간결한 추상미로 표현하였으며, 이에 각인된 이미지는 미니멀 한 작가의 조형언어로 재해석 해낸 작품이다. |
작가 |
최승애 |
 |
작 품 명 |
도란도란 |
작품사이즈 |
140 × 70 × 175 |
제작년도 |
2018 |
작품재료 |
Resin |
작품 설명 |
고된 세상살이에 토닥토닥 서로 위로해 주며 살아가자는 사랑의 마음을 표현한 작품. 서로 사랑할 시간도 부족한 세상… |
작가 |
조정 |
 |
작 품 명 |
야(野)~후 |
작품사이즈 |
220 × 80 × 230 |
제작년도 |
2023 |
작품재료 |
스테인레스 스틸, 화강석 |
작품 설명 |
허공을 향해 키스를 하고 있는 꽃잎으로 형상화된 여성의 이미지를 통하여 세상의 모든 기쁨을 안아주며 즐거운 마음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
작가 |
최현호 |
 |
작 품 명 |
Documentary |
작품사이즈 |
125 × 110 × 210 |
제작년도 |
2023 |
작품재료 |
철근, 시멘트 |
작품 설명 |
본인의 유년 시절, 게임 속 주인공인 “동킹콩” 이라는 강인한 고릴라의 캐릭터를 좋아했다. 정글에서 무슨 일이 있어도 살아남을 거라 믿었던 어린 시절의 동심을 간직하고 있다. 하지만, 고릴라는 현재 멸종 위기 동물이라고 한다. 나의 작품은, 영원히 강할 거라 믿었던 고릴라에 대한 연민에서 시작되었다. 고릴라의 특징과 닮은 성질을 가진 강하고 단단한 시멘트를 사용하여 성격을 부각시켰다. 고릴라 형태에 새겨진 그림들은, 원시시대에 벽에 그림을 그리는 행위를 오마주 하여 나만의 방식으로 기록물 새겼다. 이 기록은 본인 마음속엔 영원하길 바라는 주술적 수단이며, 나의 다큐멘터리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