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생조각전
전체전시
상세
제 140회 관악문화재단과 크라운해태가 함께하는 견생 조각전
게시일 : 2025-09-24 조회수 : 6
장소 :
 관악문화재단, 으뜸공원, 관악구청
일시 :
 2025년 9월 24일 ~ 2026년 3월 2일
작품수 :
 대형14점 / 소형 24점 (작가1人 : 대형 1점 + 소형 2점)
참여작가 :
 김리현, 남지형, 류종윤, 설총식, 이공, 이명훈, 이일, 전덕제, 조영철, 조정, 최승애, 전신덕, 최혜광

작 가 전덕제
작 품 명 어머니의 보석지갑
작품 사이즈 280 × 140 × 240
제작년도 2020
작품 재료 스테인레스스틸, 우레탄 도장, 조명
작품 설명 문명사회의 발전으로 화폐와 지갑이 점점 사라지는 현 사회에서 예전 구슬 보석지갑의 옛 추억을 찾고 보석지갑 작품을 보면서 어머니의 옛 행복해 보였던 모습을 그려 보았으면 한다. 구슬지갑에서 옛 추억의 행복을 찾고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느낄 수 있는 구슬지갑이란 모티브로 이용하여 작품을 구상하였다.
작가 최혜광
작 품 명 기린인척
작품사이즈 200 × 90 × 240
제작년도 2024
작품재료 알루미늄 주물
작품 설명 나의 작업은 즐겁고 아름다웠던 기억의 발자취를 더듬어 가는 것이고 ‘척’은 나의 아바타이다. 내성적이라 사람들 앞에 나서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고 선뜻 누군가에게 말을 건네지 못했으며 밝고 재능 있는 친구들을 보며 부러워했던 나는 ‘척’이 이런 나를 대신해 줬으면 한다.
작가 류종윤
작 품 명 Vector_Deer
작품사이즈 130 × 120 × 230
제작년도 2025
작품재료 stainless steel
작품 설명 사슴의 뿔은 경쟁 무기 또는 먹이 획득을 위한 요소인 동시에 화려 할수록 생명을 앗아가는 무겁고 불편한 요소이다. 이런 모순적 의미는 선과악, 빛과어둠 같이 존재에 따른 역할성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했고, 마치 현실을 살아가며 성장하는 우리의 모습과도 유사하다 느꼈다. 결과의 무게만큼 책임감이 따라오는 순리적상황을 작품을 통해 제시하고 싶었다.
작가 이공
작 품 명 사계중 여름
작품사이즈 123 × 70 × 245
제작년도 2018
작품재료 스테인레스 스틸
작품 설명 자연의 시간에 견주어 인간의 시간을 사유해 본다.
작가 이일
작 품 명 무지개숲의 나무꾼
작품사이즈 120 × 120 × 260
제작년도 2016
작품재료 스테인레스 스틸
작품 설명 동화적인 표현 방법으로 만들어진 차가운 도시 속에서 힘들지만 사람들에게 친숙한 형상과 자연에서 가져온 소재들을 통해 바쁘게 세상을 살아가며 거리를 다니는 현대인들에게 잃어버린 동심과 자연을 바라보고 동경할 수 있는 작품으로 기획되었다.
작가 전신덕
작 품 명 새벽
작품사이즈 160 × 70 × 250
제작년도 2022
작품재료 철, 채색
작품 설명 복잡하고 버거운 삶 속에서 새로운 미래를 향해 자유로운 모습과 꿈과 희망을 갖고 떠나는 모습을 표현했다.
작가 조정
작 품 명 복(福)
작품사이즈 200 × 200 × 150
제작년도 2025
작품재료 FRP, 우레탄 도장
작품 설명 호박의 형상에 벤치의 기능성을 가미하였다. 복을 상징하는 호박에 앉아 모두들 복받으세요.
작가 최승애
작 품 명 도란도란
작품사이즈 140 × 70 × 175
제작년도 2018
작품재료 Resin
작품 설명 고된 세상살이에 토닥토닥 서로 위로해 주며 살아가자는 사랑의 마음을 표현한 작품이다. 서로 사랑할 시간도 부족한 세상…
작가 전신덕
작 품 명 Station
작품사이즈 160 × 170 × 100
제작년도 2006
작품재료 스틸
작품 설명 복잡하고 버거운 삶 속에서 새로운 미래를 향해 각자의 자유로운 모습을 표현하며 미래로 향한 꿈과 희망을 갖고 떠나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작가 이명훈
작 품 명 Snow man × 1440rpm
작품사이즈 1500 × 1000 × 2200
제작년도 2024
작품재료 스테인리스 스틸
작품 설명 맑은 날 혼자 남은 눈사람의 외로운 모습을 반의적인 표현으로 밝게 연출하여 따뜻한 미래의 희망을 바라는 작가의 마음을 눈사람으로 투영해 표현하였다.
작가 김리현
작 품 명 Are you here for this?
작품사이즈 150 × 150 × 180
제작년도 2022
작품재료 혼합매체
작품 설명 꽃은 욕망에 기생하는 인간의 자아를 표현하며 그 상징인 다이아몬드로 치환되었다. 환영적 에덴은 욕망을 비판하면서도 동시에 찬양한다. 욕망의 옳고 그름을 따지는 것이 목적이 아닌, 욕망 속 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욕망에 대한 가감 없는 직시는 비극적인 현실에서 도피하게 하는 대신 삶을 정화하고 옹호하며, 때로는 평범함에 가치를 불어넣어 칭송하게 한다. 이것은 예술적 환영이 제공하는 순기능과 일치하며, 작품으로써 존재 의의이기도 하다.
작가 조영철
작 품 명 Quadruped
작품사이즈 160 × 260 × 280
제작년도 2015
작품재료 혼합재료
작품 설명 작가는 주로 야생동물을 소재로 한 입체 작업을 통해 이동과 소통의 현대적 의미를 탐색해왔다. 이상적인 곳을 찾아 본능적으로 이동하는 야생동물의 습성에서 작가는 현대 인류가 잃어버린 가치를 발견한다.
작가 설총식
작 품 명 탐험~휴식하는이
작품사이즈 142 × 115 × 78
제작년도 2017
작품재료 F.R.P
작품 설명 탐험 시리즈는 4인으로 시작하는 이, 휴식하는 이, 발굴하는 이, 핸드폰 보는 이로 구성되어 있다. 남극에만 서식하는 펭귄을 사람에 비유해 표현 함으로서 한 곳에서만 살아가는 현대인의 미지의 세계에 대한 열망을 표현했다.
작가 남지형
작 품 명 축적된 꽃잎
작품사이즈 105 × 100 × 225
제작년도 2025
작품재료 스테인리스스틸 우레탄페인트
작품 설명 떨어지는 꽃잎의 순간을 포착해 유닛을 재해석, 축적되는 꽃잎을 인간의 삶과 동일시하며 우리의 지나간 삶이 행복하길 바란다.
작가 남지형
작 품 명 축적된 꽃잎
작품사이즈 32 × 32 × 32
제작년도 2019
작품재료 스테인리스 스틸, 우레탄 페인트
작가 남지형
작 품 명 축적된 꽃잎
작품사이즈 27 × 20 × 55
제작년도 2025
작품재료 스테인리스 스틸, 우레탄 페인트
작가 조정
작 품 명 야(野)~후
작품사이즈 50 × 13 × 35
제작년도 -
작품재료 FRP
작가 조정
작 품 명 야(野)~후
작품사이즈 15 × 13 × 30
제작년도 -
작품재료 FRP
작가 조영철
작 품 명 "몽유도묘(夢遊道貓)" The Cat on the Dream Road
작품사이즈 30 × 75 × 80
제작년도 -
작품재료 Painted Stainless steel
작가 조영철
작 품 명 깡통로봇
작품사이즈 30 × 16 × 70
제작년도 -
작품재료 Stainless steel
작가 이공
작 품 명 충돌
작품사이즈 65 × 50
제작년도 -
작품재료 스테인레스 스틸
작가 이공
작 품 명 걷다
작품사이즈 30 × 15 × 55
제작년도 -
작품재료 스테인레스 스틸
작가 이명훈
작 품 명 멘붕 X1440rpm
작품사이즈 60 × 20 × 20
제작년도 2021
작품재료 스테인레 스틸, 페인트
작가 이명훈
작 품 명 봄 X1440rpm
작품사이즈 53 × 70
제작년도 2022
작품재료 스테인레 스틸, 페인트
작가 전신덕
작 품 명 가족
작품사이즈 27 × 16 × 26
제작년도 2020
작품재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