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생조각전
전체전시
상세
제 131회 충청북도와 크라운해태가 함께하는 견생 조각전
게시일 : 2025-07-21 조회수 : 5
장소 :
 충청북도 속리산 국립공원 내 (괴산군 청천면 화양리 일대)
일시 :
 2025년 7월 중순 ~ 12월 31일 (5~6개월)
작품수 :
 현대조각 10작품
참여작가 :
 김성복, 송현구, 김원근, 설총식, 조영철, 전신덕, 김민호, 장원모, 이일, 류종윤

작 가 김성복
작 품 명 바람이 불어도 가야한다
작품 사이즈 330 × 140 × 300
제작년도 2021
작품 재료 스테인레스 스틸
작품 설명 달리는 사람 형태 연작은 욕망을 좇는 모습일 수도 있지만, 욕망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으로도 풀이되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다. 그는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한국성을 탐구하던 시절 석굴암 금강 역사상의 역동적인 이미지가 많은 도움이 됐다고 전했다.
작가 송현구
작 품 명 도깨비 셀카
작품사이즈 150 × 160 × 300
제작년도 2018
작품재료 스테인레스 스틸, 동판
작품 설명 도깨비 셀카는 현대인의 모습을 대변한다. 신화 속에 존재했던 도깨비가 그의 심벌인 방망이를 자랑삼아 자신의 모습을 찍고 있는 형상이다. SNS에 보여지는 한 장의 셀카(Self camera) 사진은 이상적인 나의 모습을 대변한다.
작가 김원근
작 품 명 엔젤맨
작품사이즈 90 × 60 × 200
제작년도 2020
작품재료 FRP
작품 설명 추운 크리스마스이브날 좋아하는 여자친구에게 잘 보이려고 귀여운 모습으로 따뜻한 커피를 사들고 기다리는 젊은 청춘의 순수한 사랑을 표현했습니다.
작가 설총식
작 품 명 a Walker
작품사이즈 107 × 225 × 77
제작년도 2007
작품재료 FRP
작품 설명 탐험-핸드폰 보는 현대인의 미지에 대한 탐험 욕구를 한 곳(남극)에서 정착하여 사는 펭귄에 비유해 현재를 살아가는 직장인의 모습을 듬직한 모습의 곰으로 비유해 표현했다. 이 작품은 4인으로 구성된 시리즈 중 한 작품이다.
작가 조영철
작 품 명 Quadruped
작품사이즈 180 × 80 × 210
120 × 180 × 230
제작년도 2017
작품재료 스테인레스 스틸
작품 설명 작가는 주로 야생동물을 소재로 한 입체 작업을 통해 이동과 소통의 현대적 의미를 탐색해왔다. 이상적인 곳을 찾아 본능적으로 이동하는 야생동물의 습성에서 작가는 현대 인류가 잃어버린 가치를 발견한다.
작가 전신덕
작 품 명 Young
작품사이즈 160 × 160 × 290
제작년도 2024
작품재료 스틸
작품 설명 현대인의 삶 속에서 획일적인 굴레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평범한 일상을 표현하였다. 복잡하고 버거운 삶 속에서 새로운 미래를 향해 자유로운 모습을 표현하며 꿈과 희망을 갖고 떠나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작가 김민호
작 품 명 나를 보는시간
작품사이즈 170 × 160 × 255
제작년도 2022
작품재료 스테인리스 스틸
작품 설명 인간이 자연스럽게 순리대로 살아가는 모습을 처음과 끝의 구분이 명확한 이미지들을 통해 회전하는 형상으로 나타내었다.
작가 장원모
작 품 명 Geometry Horse F
작품사이즈 100 × 355 × 250
80 × 300 × 200
제작년도 2020
작품재료 스테이레스 스틸, 우레탄 도장
작품 설명 두 마리의 말 가족이 힘차게 달리는 모습을 담았다. 기하학적 도형들로 구성된 말은 분해와 재조합의 과정을 거치며 간결한 추상미로 표현하였으며, 이에 각인된 이미지는 미니멀 한 작가의 조형언어로 재해석 해낸 작품이다.
작가 이일
작 품 명 봄바람
작품사이즈 230 × 60 × 280
제작년도 2023
작품재료 스테인레스 스틸
작품 설명 봄바람에 날아오르는 나비를 순수한 색감으로 조형화해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명력 새 계절의 설렘을 담아낸 작품이다.
작가 류종윤
작 품 명 만개_LOVE
작품사이즈 90 × 90 × 280
제작년도 2018
작품재료 스테인레스 스틸
작품 설명 인간은 사랑을 베푼 만큼 갈증을 느끼는 것이며, 상대방을 소유할 수 없을 때 또는 상대방을 잃어버렸을 때, 죽음과 같은 고뇌를 느끼게 만든다.
 

목록